Login| Sign Up| Help| Contact|

Patent Searching and Data


Title:
INTERNAL COMBUSTION ENGINE THAT OPERATES BY HAVING MUTUALLY CONNECTED VIBRATING VIBRATION SHAFT AND ROTATING CRANKSHAFT
Document Type and Number:
WIPO Patent Application WO/2016/047987
Kind Code:
A1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whereas in a conventional engine the expansion pressure generated by a piston is immediately transferred to a crankshaf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which operates in a manner wherein the expansion pressure generated by a piston is transferred to a new shaft, which is a vibration shaft that vibrates like a see-saw due to the lever principle, and is then transferred to the crankshaft, having the advantages of: reducing lateral pressure generated by the piston; the diameter when the crankshaft rotates being greater than the stroke distance of the piston, increasing the energy absorption rate; the maximum pressure point of the explosion stroke is raised to nearer the top dead centre than in conventional engines, increasing thermal efficiency; engine size and height is reduced compared to conventional engines; and the number of rotation portions is reduced compared to conventional engines, reducing rolling friction.

Inventors:
KIM SOOHO (KR)
Application Number:
PCT/KR2015/009908
Publication Date:
March 31, 2016
Filing Date:
September 22, 2015
Export Citation:
Click for automatic bibliography generation   Help
Assignee:
KIM SOOHO (KR)
International Classes:
F02B75/32; F16C3/06
Foreign References:
JPH11343801A1999-12-14
KR100914939B12009-08-31
KR20110003488A2011-01-12
JP2003083102A2003-03-19
JPH1089002A1998-04-07
Download PDF:
Claims:
【청구범위】

【청구항 1】 양쪽 끝부분이 진동할 수 있도록 베어링등으로 고정된 원기등 (13)의 중심 (O l)선에 존재하는 한 점에서 양쪽방향으로 중심선과 직교하고 모양과 크기가 같도록 돌출된 피스톤 설치팔 (arm)을 2개 (14X15) 설치하여 각 각의 말단부에 피스톤을 설치하기 위한 피스톤설치 핀 (pin)(18)(19)을 중심선 에서 같은 거리에 위치하도록 설치하여 2개의 피스톤 (05X06)과 1대 1로 대웅 시켜 설치하고, 원기둥 (13)의 중심 (Ol)선중 상기의 점과 무관한 점에서 방향 에 관계없이 중심선과 직교하도록 돌출된 진동거리 결정팔 (23)을 1개 설치하 여 말단부에 진동거리 결정판 (24)을 설치하고, 피스톤이 상사점 하사점에 위 치할때의 진동거리 결정핀 (24)의 중심점 e와 f가 위치하는 두점을 지나는 직 선위의 점 또는 근방의 점을 중심 (02)으로 하는 크랭크축을 설치하고, 이 크 랭크 에 존재하는 크¾크핀 (27)과 진동거리 결정핀 (24)을 연결봉 (29)으로 연결하여 작동시킬 때, 크랭크축 (25)은 회전운동을 하고, 진동축 (13)에 직교하 는 돌출부들 (14X15X23)로 되어있는 진동축뭉치는 시소와 같은 진동운동을 하며, 설치된 진동거리 결정팔 (23)의 길이에 의하여 크랭크축의 행정거리가 결 정되어 작동되는 내연기관.

【청구항 2】 청구항 1에 있어서,

피스톤 설치핀 (18)에 피스톤 (07)을 더 설치하여 상하로 2개가 되도록 하고, 피스톤 설치핀 (19)에도 피스톤 (08)을 더 설치하여 상하로 2개가 되도록 하 여, 총 4개의 피스톤 (05X07X06X08)이 설치되어 작동되는 내연기관.

【청구항 3】 청구항 1에 있어서

중심 (Ol)선에 존재하는 한 점에서 중심선과 직교하도록 양쪽 방향으로 돌출 된 피스톤 설치팔 (16X17)과 이 설치팔의 말단부에 설치된 피스톤 설치핀 (20X21)을 기존의 피스톤 설치팔 (14X15)과 피스톤 설치핀 (18)(19)에 서로

10

대체용지 (규칙 제 26조) 평행하고 같은 크기로 설치하여, 양쪽으로 설치된 총 4개의 피스톤 설치핀 (18X19X20X21)에 4개의 피스톤 (05)(06)(07)(08)을 1대 1로 대응되도록 설치하여 작동되는 내연기관.

【청구항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청구된 내연기관을 1벌로 생각할 때, 이 내연기관 두벌이상을 모든 피스톤에 서 흡입 압축 팽창 배기 행정이 순차적으로 일정하게 일어날 수 있도록 크 랭크 핀의 각도를 조정하여 크랭크축만을 서로 일직선으로 한 덩어리가 되 도록 연결하면, 크랭크 핀이 2개 이상이며 한 덩어리로 연결된 크탱크축이 회전할 때, 피스톤이 설치된 2개 이상의 진동축 뭉치는 서로 독립적으로 시 소처럼 진동하여 작동되는 내연기관.

11

대체용지 (규칙 제 26조)

Description:
【발명의 설명】

【발명의 명칭】

진동하는 진동축과 회전하는 크탱크축이 서로 연결되어 작동되는 내연기관

【기술분야】

본 발명의 기술은 통상적인 종래의 4행정 내연기관 전반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

통상적인 4행정 내연기관 전반에 관한 것과, 여기에 시소 (seesaw)의 리 즉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한 내연기관이다.

【발명의 개시】

종래의 내연기관에 대하여, 실린더에서 발생하던 측압이 거의 발생하지 않으며, 또한 종래 단행정기관의 단점 즉 크랭크축의 과 크탱크 핀과의 거 리가 짧음으로 에너지 흡수율이 떨어졌으나 본 발명에서는 피스톤은 단행정 으로 왕복이동을 하여도 크탱크축의 행정은 지렛대의 원리에 의하여 장행정 으로 회전함으로 에너지 흡수율을 높일 수 있고, 팽창압력의 최고점을 종래 기관보다 상사점 근처까지 을릴 수 있음으로 보다 큰 팽창 압력을 얻을 수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의 (가)는 본 발명에서의 2기통기관의 조립입체도, (나)커넥팅로드 입 체도, (다)는 본 발명의 부품으로 진동축 뭉치의 입체도, (라)는 (가)의 단면도. 도 2의 (가)는 진동축 뭉치의 정면 설계도, (나)는 피스톤 설치핀이 2개인 진동 축 뭉치의 입체도, (다)는 피스톤 설치핀이 4개인 진동축 뭉치의 입체도. 도 3의 (가)는 2기통기관의 단면도, (나)는 주요점들의 이동경로를 나타낸 선 형도.

도 4는 도 3과 같은 주요점들의 이동경로를 나타낸 선형도로, 진동거리 결정 팔의 위치가 중심점 O l에서 방향에 관계없이 설치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도 면.

도 5의 (가) 본 발명에 의한 4기통 기관의 입체도. (나)는 커넥팅로드 입체 도, (다)는 피스톤 설치핀이 2개인 진동축뭉치의 입체도, (라)는 (가)의 단면 도

도 6의 (가)는 본 발명에 의한 4기통 기관의 입체도. (나)는 커넥팅로드 입체 도, (다) 피스톤 설치핀이 4개인 진동축 뭉치, 연결봉, 크랭크축의 입체도. 도 7의 (가)는 종래 기관에서의 측압, (나),(다 ), (라)는 본 발명 기관에서의 측 압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의 (가)는 팽창압력이 전달 과정을 나타낸 도면으로 (나)와 (다)를 동시 에 나타낸 도면. (나)는 본 발명기관에서 피스톤의 팽창압력이 크탱크축에 전달과정을 나타낸 도면, (다)는 종래기관에서 피스톤의 팽창압력이 크랭크축 에 전달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청구항 4번에서의 여러 가지청구된 내연 기관 중에서 중에서 한 가지를 나타내는 도면.

【발명의 최선의 실시예】

도면에 따라서 설명하면, 도 1의 (가)는 본 발 명에 의하여 조립된 2기통 내연기관의 입체도로, 실린더 ( 01, 02)와 피스톤 (05, 06) - 커넥팅로드 (09, 10)-진동축뭉치 (다) -연결봉 (29)-크랭크축 순서로 연결되어 동력이 전 달됨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에서 본 발명의 주가 되는 진동축 뭉치는 어떻게 설계되었는지 를 알아보 도록하자. (가)는 진동축 뭉치의 설계도로 정면에서 본 도면이다.

(나) (다)는 진동축 뭉치의 입체도이다. 중심점 이에서 양쪽으로 돌출된 부 분 즉 왼쪽으로 (14X16) 오른쪽으로 (15X17)을 피스톤 설치팔 (arm)이라 칭 하고, 이 팔위에 원으로 표현된 부분 (18)(20)(19)(21)을 피스톤 설치핀 (pin) 이라 칭하고 왼쪽 핀들의 중심을 a , 오른쪽 핀들의 중심을 g라고 할 때, O l에서 a점까지의 거리와 O l에서 g점까지의 거리는 rl으로 같고 이 핀에 피스톤이 설치된다. (나) (다)에서 4개의 피스톤 설치팔 (14)(15)(16)(17)은 합 동이고 특히 (다)에서 두개의 피스톤 설치팔 (14)와 (16)은 서로 평행하게 설 치되고, 나머지 피스톤 설치팔 (15)과 (17)도 서로 평행하게 설치된다. (나)와 (다)는 전체가 한 덩어리로 뭉쳐져 있고 (나)를 피스톤 설치핀이 2개인 진동 축 뭉치 라 칭하고 (다)를 피스톤 설치핀이 4개인 진동축 뭉치라고 칭한다. 앞과 뒤로 돌출된 중심점이 O l인 원기등을 이하 진동축 (13)이라 칭하고 이 진동축의 양쪽 말단부는 진동할 수 있도록 베어링등으로 고정된다.

점 t, s, e쪽으로 돌출된 부분을 이하 진동거리 결정팔 (23)이라 칭하고 이 진동거리 결정팔 하단의 갈라진 틈에 존재하는 (나) (다)에서 보이지는 않음 으로 점선으로 표시된 부분으로 종래 기관에서 크탱크핀과 모양과 역할이 같은 핀으로 이하 진동거리 결정핀 (24)이라 칭하고, 점 t, s, e 를 이 핀 (24) 의 중심, r2, r3, r4는 중심 O l에서 이 핀까지의 거리이고 이 거리를 진동거 리 결정 팔의 길이라 칭한다. 여기서 피스톤 설치팔과 진동거리 결정팔은 각 각 진동축 (13)에 직교한다.

이 진동축 뭉치의 구조및 작동방법을 쉽게 설명하면 어린이놀이터에 설치된 시소 (seesaw)와 그 원리가 같다. 진동거리 결정팔 (23)이 하는 일은 도 3에서 설명하겠지만 피스톤의 행정거리에 관계없이 진동거리 결정팔의 길이에 따라 회전하는 크탱크의 지름이 결정되는 역할을 한다. 종래기관에서는 피스톤의 행정거리와 크랭크축이 회전할 때의 지름은 서로 같았으나, 본 발명에 의하 면 진동거리결정팔의 길이에 따라 피스톤의 행정거리보다 크탱크축의 회전 지름이 커질 수도, 같을 수도 작아질 수도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그리고 앞 으로는 크랭크축의 중심에서 크랭크핀의 중심까지의 거리를 반지름으로 하여 회전할 때 생기는 지름을 크탱크축의 행정거리라 칭한다. 그리고 진동거리 결 정팔 (23)을 (가)에서는 3가지 경우로 그려져 있으나 이는 비교하기 하여 그 린 것이고 실제로 기관이 제작될 때에는 (나) (다)의 그림에서와 같이 1개만 결정되어 설치된다.

다음에 중심점이에서 반지름이 r2, r3, r4 만큼 떨어짐 점 t, s, e는 어디에 존재할 수 있는 점인지 알아보자. 존재 할 수 있는 점의 위치는

도 2에서, rl과 r2의 길이를 비교하면 rl > r2 이다. 이 관계를 만족하는 점 들은 원주 z위에 있는 모든 점이고 모두 t가 될 수 있다.

rl과 r3의 길이를 비교하면 rl = r3 이다. 이 관계를 만족하는 점들은 원주 y위에있는 모든 점이고 모두 s가될 수 있다.

rl과 r 4의 길이를 비교하면 rl < r4 이다. 이 관계를 만족하는 점들은 원주 w위에 있는 모든 점이고 모두 e가 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점 (t, s, e)을 진동거리 결정핀의 중심으로 하는 진동거리 결정팔 (23)은 O l을 기준으로 (나) (다)의 그림에서 표현된 위치뿐만 아니라 360° 모 든 방향 어디에도 설치될 수 있다. 도 4에서는 진동거리 결정팔의 설치위치가 도 3에서와 서로 다름을 보여준다.

다음에 진동거리 결정팔의 길이가 r4, r3, r2, 중 어느 하나로 결정될 때 어 떠한 결과를 의미하는지 도 3에서 r4인 경우를 가지고 설명하고, 진동거리 결 정팔의 길이가 r2 또는 r3 경우는 결론 만 도출하기로 한다. 즉 진동거리 결 정팔의 길이가 r4, 피스톤 설치팔의 길이가 rl 일때 즉 rl < r4 인 경우만을 도 3에서 설명하고 rl =r3인 경우와 rl > r2인 경우는 결론만 도출하기로 한 다.

도 3은 도 1과 같은 2기통기관 이지만, 도 5, 도 6과 같은 4기통기관에 동시에 적용되는 그림이다. 왜냐하면 도 5, 도 6와 같이 설치된 4기통 기관 에서 실린 더 내의 피스톤 위치을 생각하면 두 개의 피스톤은 항상 짝을 이루어 같은 위 치에 있기 때문에 4기통기관에서 4개의 피스톤은, 2기통 기관에서 2개의 피스 톤처럼 움직이기 때문이다.

도 3의 (가)는 단면도이고, (나)는 각각의 중심점 p, a, g, e, m의 이동경로 및 이동거리를 선분으로 나타낸 선형도이다. 01, 02 는 이동하지 않는 고정점 으로, O l은 시소가 을라가고 내려갈 때처럼 진동의 중심점 역할을, 02는 크탱크축의 중심이므로 360 ο 회전하는 중심 역할을 담당한다. 도 3은 rl < r4 인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나)에서 보면 왼쪽 피스톤 (05)은 상사점에 오 른쪽 피스톤 (06)은 하사점에 위치하여 서로 상하로 왕복운동 할 때 커넥팅로 드 (09X10)로 연결된 진동축 뭉치도 O l 을 중심으로 점 a와 점 g가 시소처럼 상하로 즉 진동하는 식으로 움직인다. 즉 점 a는 반지름이 rl인 호를 따라 b 점으로 직선거리로는 hi만큼 이동하고, 점 g도 반지름이 rl인 호를 따라 k점 으로 직선거리로는 hi만큼 이동된다. 이때에 hi은 피스톤의 행정거리 이다. 이때 진동거리 결정핀 (24)의 중심점 e도 반지름이 r4인호를 따라 f점으로 직 선거리로는 h2만큼 이동한다. 선분 ef의 연장선에 점 m과 크랭크축의 중심 점 02 를 잡고 이 두 점 사이의 거리를 r6 라 하고 r6의 길이가 선분 ef의 길이 즉 h2의 절반이 되도록 하면 원 02의 반지름은 r6이고 지름은 h2이므 로 크탱크축의 행정거리는 h2이다. 그리고 선분 em의 길이는 연결봉 (29)의 길이가 된다. 여기서 연결봉의 길이는 h2보다 길어야 한다. 이 때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선분 ef의 직선거리는 선분 cd의 직선거리와 h2로 같음으로, 첫째, rl < r4일 때에는 hi < h2 즉 피스톤의 행정거리보다 크탱크축의 행정 거리가 크다. 그리고 선분 ef는 원주 w위의 두 점이고 이선분의 연장선위에 크랭크축의 중심 02가 존재한다.

같은 방법으로 위의 문장에 r4 대신 r3나 r2를 대입하여 결론만 말하면, 둘째, rl = r3일 때에는 hi = h2 즉 피스톤의 행정거리와 크랭크축의 행정 거리는 같다. 그리고 선분 ef에 해당되는 점은 원주 y위의 두 점이고 이선 분의 연장선위에 크랭크축의 중심 02가 존재한다.

셋째, rl > r2일 때에는 hi 〉 h2 즉 피스톤의 행정거리보다 크탱크축의 행 정거리가 작다. 그리고 선분 e f에 해당되는 점은 원주 z 위의 두 점이고 이선 분의 연장선위에 크랭크축의 중심 02가 존재한다.

위의 결과에 의하여 피스톤의 행정거리가 일정할 때 크랭크의 행정거리는 진 동축의 중심 O l에서 진동핀 (24)의 중심 (e, t, s)까지의 거리 즉 진동거리 결 정팔의 길이로 결정됨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하여 진동거리 결정팔의 길이에 의하여 단행정기관, 정방행정기관, 장 행정기관으로 될수도 있다.

도 4는, 진동거리 결정팔이 도 3의 위치가 아닌 또 다른 위치에 있을 때의 주 요점들의 이동경로를 나타낸 선형도이다. 결론적으로 여기서 이해할 부분은 점 (t, s, e)을 포함한 진동거리 결정팔 (23)은 이을 기준으로 그림에서 표현된 위치뿐만 아니라 360°어느 방향으로나 설치될 수 있다. 특히 도 4와 같이 진 동거리 결정팔 (23)이 피스톤쪽의 방향에 위치하면 엔진의 높이를 낮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는 것을 이해하면 된다.

도 5에서 (가)는 4기통기관을 설치한 입체도이다. 즉 한쪽의 피스톤 설치핀 (18)에 두 개의 피스톤 (05,07)을, 또 다른 쪽의 피스톤 설치핀 (19)에 두 개의 피스톤 (06,08)을 위와 아래로 총 4개의 피스톤을 설치한 입체도이다. (나)는 커넥팅로드의 대단부를 변화시킨 도면으로 하나의 피스톤 설치핀에 두 개의 피스톤을 매달 수 있다는 의미 이외의 뜻은 없다. 즉 실제로 본 발명이 기관 으로 제작된다면 커넥팅로드의 대단부는 종래의 기관에서는 회전하는 부위였 으나 본 발명에서는 진동부가 됨으로 상당히 다른 모양이 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으로 그리지는 않았으나 한쪽의 피스톤 설치팔에 피스톤 설치핀 을 상 하로 두 개씩 양쪽으로 총 4개의 핀을 설치하고 여기에 피스톤올 상하 로 총 4개의 피스톤을 설치해도 위에서와 같은 4기통 기관이 됨을 밝혀둔다. (라)는 (가)의 단면도이다.

도 6은 피스톤 설치핀이 4개인 진동축 뭉치 (다)를 이용하여 4기통기관을 만든 도면으로 왼쪽에 위치한 두개의 피스톤 설치핀 (18X20), 그리고 오른쪽에 위 치한 두 개의 피스톤 설치핀 (19X21)에 한쪽 방향으로만 설치핀 1개에 피스 톤 1개씩 총 4개의 피스톤을 설치한 4기통기관의 도면으로, (가)는 입체도이 고 (나)는 커넥팅로드의 입체도 (다)는 진동축뭉치와 연결봉 (29), 크탱크축을 입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 서로의 연결 상태를 유추하기 쉽게 하기위한 그 림이다.

도 7은 실린더와 피스톤에서의 발생하는 측압의 크기를 나타낸 도면으로, 피 스톤이 상사점 a와 하사점 b의 중간에 위치할 때의 측압올 알아보고 이것을 바탕으로 팽창압력이 최고일 때의 측압도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즉 피스톤 의 중심점은 p에서 p'으로 이동 되고, 크탱크 핀은 a에서 a'으로 90°회전 이 동되었을 때, 피스톤이 이동되는 중심선에서 a'까지의 거리 α를 측압의 크기로 표기 하였다. α가 크면 측압도 크다.

(가)는 종래기관에서 발생하는 측압을 나타낸 것이다. CI는 매우 크다.

(나)는 본 발명의 측압을 나타낸 도면이다. α는 종래기관의 1/4정도에 불과하 다.

(다)는 측압을 줄이기 위한 방법으로 (나)에서 진동축의 중심이은 이동하지 않고 실린더와 피스톤만을 β만큼 왼쪽으로 평행 이동시켰을 때의 도면이다. (라)는 (나)에서의 실린더와 피스톤만을 오른쪽으로 약간 기우려 놓은 상태일 때의 도면 이다. (다) (라)에서는 피스톤의 행정거리가 (나)의 경우보다는 조금 짧아진다. 위의 결과에서 본 발명기관의 측압이 종래기관에서 발생되던 측압 보다 현저하게 감소됨을 알 수 있다.

도 8에서는 피스톤에서 생성된 팽창압력이 크탱크축에 전달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으로 (나)는 본 발명에서 도면이고 (다)는 종래기관에서의 도면이고 (가)는 (나)와 (다)의 관계를 같은 비율로 확대하여 동시에 나타낸 도면이다. (다)는 종래기관에서 점 e는 피스톤의 중심점 즉 피스톤핀 이 위치하는 점이고 선분 em는 커넥팅 로드의 길이이고 m점은 커넥팅 로드의 대단부의 중심점이고 동시에 크랭크핀의 중심점이다. 피스톤의 중심점 e는 직선인 선분 em을 따라 상사점인 e에서 하사점인 f까지 왕복 이동하게 된다. 이때 점 e가 j점까지 이 동하면 m는 m"으로 회전이동하고 선분 jm"은 커넥팅로드를 나타내고 선분은 이것의 중심선이다. j점이 폭발압력이 최대인 점이라고 가정 하면 이때에 피 스톤이 이동되는 선분 jm과 커넥팅로드의 중심선 jm"이 이루는 각도를 θ'라 한다. 각도 θ'가 크면 크랭크축에서 에너지흡수율이 높다.

(나)는 본 발명에서의 도면으로 즉 도 3의 아래 일부분으로 진동거리 결정핀 (24)의 중점 e에서 크랭크핀의 중점 m까지를 연결봉 (29)으로 연결한 도면으로, O l은 진동축의 중심이고 02는 크랭크축의 중심이고 e점은 피스톤이 상사점 에 있을 때 진동거리 결정핀의 중심이고 f점은 피스톤이 하사점에 있을 때의 진동거리 결정핀의 중심점이다. 이때에 점 e가 i점까지 원주를 따라 이동하면 크탱크핀의 중점인 m는 m'으로 이동하고 선분 im' 은 연결봉을 나타내고 연 결봉의 중심선이다. i점이 폭발압력이 최대인 점이라고 가정하면 이때에 선분 em과 연결봉의 중심선 im'이 이루는 각도를 Θ라 한다. 각도 Θ가 크면 크랭크 축에서 에너지흡수율이 높다.

(다)와 (나)두 도면을 일정한 비율로 확대하여 중복하여 나타낸 도면이 (가)이다. (가)에서 각도 Θ와 θ' 을 비교하면 θ > θ'임을 알 수 있다. 여기서 각도가 크다는 것은 크램크축에서 폭발압력을 흡수하기 수월함을 뜻 한다. i나 j를 상사점 e근방으로 이동시킬 때에도 항상 θ > θ' (가)의 관계는 성립함을 유 추할 수 있다. 여기서 유추하면 본 발명에서 종래의 기관보다 팽창압력 최고 점을 상사 점에 가깝게 접근시킬 수 있음으로 팽창압력을 더 크게 할 수 있고 이 압력을 좀더 수월하게 크행크축으로 흡수시킬 수 있다.

회전방향을 반대로 해도 결과는 같다.

도 9는 청구항 4번의 여러 가지 경우중 일예를 보여주는 8기통 내연기관의 도면이다.

부호의 명칭은 다음과 같다.

01, 02, 03, 04:실린더. 05, 06, 07, 08:피스톤. 9, 10, 11, 12:커넥팅로드.

13:진동축. 14, 15, 16, 17:피스톤 설치팔 (arm). 18, 19, 20, 21 :피스톤 설치핀 (pin).

3:진동거리 결정팔 (arm).

24:진동거리 결정핀 (pin) —도 1의 (라)에 표기되어있음. 5:크탱크축. 26:크탱크암 (arm).

27:크탱크핀 -도 1의 (라)에 표기되어있음.

28:플라이휠. 29:연결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