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Sign Up| Help| Contact|

Patent Searching and Data


Title:
PLATE CAPABLE OF WRITING AND SCREEN FUNCTIONS
Document Type and Number:
WIPO Patent Application WO/2022/153097
Kind Code:
A1
Abstract:
This plate capable of writing and screen functions comprises a non-reflective layer, a screen layer, and a support layer, wherein: the non-reflective layer comprises a transparent film, a water-repellent coating layer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transparent film, and a bead-scattering layer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water-repellent coating layer; the screen layer comprises a screen film and a polymer liquid-crystal dispersion layer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creen film; and a transparent substrate for resisting pen pressure appli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non-reflective layer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non-reflective layer and the screen layer.

Inventors:
KIM SEONG EUN (KR)
YANG WOO HYUK (KR)
YOON HEE YOUNG (KR)
Application Number:
PCT/IB2021/055161
Publication Date:
July 21, 2022
Filing Date:
June 11, 2021
Export Citation:
Click for automatic bibliography generation   Help
Assignee:
JK TECH CO LTD (KR)
International Classes:
B32B7/06; B32B7/023; B43L1/12; C08J7/043; G03B21/60
Domestic Patent References:
WO2019049169A12019-03-14
Foreign References:
KR20200030212A2020-03-20
KR100824303B12008-04-22
KR20140007585A2014-01-20
KR20110013667A2011-02-10
Attorney, Agent or Firm:
JI, Hyon Jo (KR)
Download PDF:
Claims:
【청구의 범위】

【청구항 11 무반사층, 스크린층 및 지지층을 포함하는 판서 및 스크린 겸용 플레이트에 있어서 , 상기 무반사층은 투명 필름, 상기 투명 필름의 전면에 형성된 발수 코팅층 및 상기 발수 코팅층의 표면에 형성된 비드 산란층을 포함하며, 상기 스크린층은 스크린 필름, 및 상기 스크린 필름의 전면에 형성된 고분자 액정 분산층을 포함하고, 상기 무반사층과 상기 스크린층 사이에는 상기 무반사층의 전면으로 가해지는 필압에 저항하기 위한 투명 기판이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서 및 스크린 겸용 플레이트.

【청구항 이 제 1항에 있어서 , 상기 무반사층의 후면에 제 1 점착층이 형성되어 상기 투명 기판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서 및 스크린 겸용 플레이트.

【청구항 3] 제 2항에 있어서 , 상기 제 1 점착층의 점착력은 10 〜 20 g/inch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서 및 스크린 겸용 플레이트.

【청구항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층의 후면에 제 2 점착층이 형성되며, 상기 제 2 점착층의 점착력은 상기 제 1 점착층의 접착력보다 높은 30 〜 40 g/inch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서 및 스크린 겸용 플레이트.

【청구항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층 및 상기 지지층 사이에 자성체층이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서 및 스크린 겸용 플레이트.

【청구항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반사층의 상기 비드 산란층은 글라스 비드를 이용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서 및 스크린 겸용 플레이트.

【청구항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무반사층의 표면에서 접촉각은 0 〜 5 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서 및 스크린 겸용 플레이트.

【청구항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발수 코팅층은 5〜 10仰1 두께의 프라이머 코팅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서 및 스크린 겸용 플레이트. 【청구항 이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발수 코팅층의 표면에서 상기 글라스 비드가 분산되어 분포되고, 상기 글라스 비드 사이로 상기 발수 코팅층의 표면에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서 및 스크린 겸용 플레이트.

【청구항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층은 상기 스크린 필름 및 상기 고분자 액정 분산층 사이에 개재된 실버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서 및 스크린 겸용 플레이트.

【청구항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층의 상기 고분자 액정 분산층은 5〜 15仰1 두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서 및 스크린 겸용 플레이트.

【청구항 1이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층의 상기 고분자 액정 분산층에 사용되는 고분자는 실리콘 아크릴레이트 계열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서 및 스크린 겸용 플레이트.

Description:
【명세서】

【발명의 명칭】 판서 및 스크린 겸용 플레이트

【기술분야】 본 발명은 판서 및 스크린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플레이트, 스크린 또는 칠판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회의, 강의 등에 빔 프로젝터가 활용되면서 판서 및 스크린 기능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스크린 또는 칠판의 개발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 10- 1237314호는 "스크린 및 판서용 다기능 시트"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다기능 시트는 무광 코팅층, 투명 PET층, 색상 코팅층, 제 1 점착층, 폼층, 제 2 점착층, 이형 필름층 등을 포함하며, 무광 코팅층은 메타 아크릴레이트 수지 (PMMA), 폴리카아보네이트 (PC), 폴리프로필렌 발포수지 (PP) 또는 아크릴로니이트릴 부타디엔 스타이렌 (ABS)계 합성수지로 제조되는 기판에, 자외선 경화 코팅층 및 왁스 조성 코팅층을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무반사 기능과 강한 표면처리를 제공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 10- 2015- 0116327호는 "칠판 겸용 무반사 스크린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스크린은 전면에 무반사 요철면을 형성하고, 그 후면으로 공극층, 스크린층 및 지지층을 차례로 형성하여, 무반사 기능 및 유연성을 가지는 스크린을 제공한다. 하지만, 종래와 같은 단순 적층 구조에서는 스크린에서 이중 상이 맺히며 편안하고 선명한 화면을 제공할 수 없다는 단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 무반사 코팅층을 형성함에 있어서도 표면에 요철을 형성하기 때문에 보드마카의 필기감 및 지움성이 저하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

【발명의 상세한 내용】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판서 및 스크린 기능을 위해 다중 적층구조를 형성함에도 스크린 사용에서도 이중상이 맺히지 않고 편안하고 선명한 화면을 제공하기 위해 특화된 판서 및 스크린 겸용 플레이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표면에 눈부심 방지를 위해 최외면에 무반사층을 형성함에 있어서도 일반 화이트보드의 필기감을 제공하고, 지움성이 우수한 판서 및 스크린 겸용 플레이트를 제공한다.

【기술적 해결방법 】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르면 , 빔 프로젝터 스크린으로 전환될 수 있는 무반사층, 스크린층 및 지지층을 포함하는 판서 및 스크린 겸용 플레이트에서, 상기 무반사층은 투명 필름, 투명 필름의 전면에 형성된 발수 코팅층 및 발수 코팅층의 표면에 형성된 비드 산란층을 포함하며, 상기 스크린층은 스크린 필름, 및 스크린 필름의 전면에 형성된 고분자 액정 분산층을 포함하고, 무반사층과 스크린층 사이에는 무반사층의 전면으로 가해지는 필압에 저항하기 위한 투명 기판이 개재될 수 있다. 무반사층의 후면에 제 1 점착층이 형성되어 투명 기판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으며 , 무반사층의 표면이 손상되거나 회복 불가능하게 오염되면 무반사층을 교체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를 위해서 제 1 점착층의 점착력은 10 〜 20 g/inch의 범위일 수 있다. 스크린층의 후면에도 제 2 점착층이 형성될 수 있으며 , 제 2 점착층의 점착력은 제 1 점착층의 접착력보다 높은 약 30 〜 40 g/inch의 범위에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스크린층 및 지지층 사이에 철판과 같은 자성체층이 개재되어 자석을 이용한 교구 등이 부착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무반사층의 비드 산란층은 글라스 비드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 이때 글라스 비드丁} 형성된 무반사층의 접촉각은 약 0 〜 5 도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발수 코팅층은 약 5〜 10仰1 두께의 프라이머 코팅층을 포함할 수 있다. 스크린층은 스크린 필름 및 고분자 액정 분산층 사이에 개재된 실버층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 실버층에는 필요에 따라 필요한 색감을 더 추가할 수 있다. 스크린층의 고분자 액정 분산층은 약 5〜 15仰1 두께로 형성될 수 있으며 , 스크린층의 고분자 액정 분산층에 사용되는 고분자는 실리콘 아크릴레이트 계열을 사용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판서 및 스크린 겸용 플레이트는 스크린 사용 시에도 이중상이 맺히지 않고 편안하고 선명한 화면을 제공할 수 있으며, 우수한 필기감을 제공하고, 지움성이 양호하다. 또한 발수 코팅층 및 글라스 비드층을 형성하여 주변 조명 및 태양빛 일부를 난반사, 확산시켜 주위 조명에 따른 프로젝션 빛 감쇄를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일반 투사거리, 단초점 투사거리의 프로젝션 빛을 고분자 액정 분산층에서 1차적으로 산란시키고, 산란된 빛은 역시 액정 분산층에서 역산란 되어 스크린 전면에 고르게 분포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판서 및 스크린 겸용 플레이트는 강의자 및 시청자들에게 편안한 관람 환경을 제공하며, 빛의 손실을 많이 줄여 일반 스크린 보드 대비 휘도가 향상되고 좀더 밝고 또렷한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판서 및 스크린 겸용 플레이트에서는 표면 스크래치 및 파손이 일어날 경우 무반사층을 전면 교체가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최소 비용으로 장기간 스크린 보드를 사용할 수 있다. 글라스 비드 사이로 발수 코팅층의 표면이 노출되게 함으로써, 발수 코팅층 상에서 비드 사이로 잉크가 갇혀서 잉크의 써짐을 향상시키고, 발수 코팅층과 잉크 간의 분리를 용이하게 하여 지움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 비드의 표면으로 인해 무반사층 표면의 접촉각을 약 0 〜 5 도로 형성하여 잉크가 맺히지 않고 잘 펴져서 써지게 할 수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서 및 스크린 겸용 플레이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무반사층, 투명 기판 및 스크린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스크린층에서의 산란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서 및 스크린 겸용 플레이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설명에서 동일한 번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며, 이러한 규칙하에서 다른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인용하여 설명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거나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서 및 스크린 겸용 플레이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무반사층, 투명 기판 및 스크린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스크린층에서의 산란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서 및 스크린 겸용 플레이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 본 실시 예에 따른 판서 및 스크린 겸용 플레이트 (100)는 칠판, 스크린 등에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 무반사층 (110) , 스크린층 (120) 및 지지층 (130)을 포함할 수 있다. 무반사층 (110)은 플레이트 (100)의 가장 전면에 위치하며 , 그 외면으로는 마카보드 펜 , 백묵 펜 등을 이용하여 판서가 가능할 수 있으며 , 무반사층 (110)의 후면으로는 스크린층 (120)이 위치하여 빔 프로젝션으로부터의 빛이 맺힐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 무반사층 (110)은 PET 등으로 이루어진 투명 필름 (112) , 투명 필름 (112)의 전면에 형성된 발수 코팅층 (116) 및 발수 코팅층 (116)의 표면에 형성된 비드 산란층 (114)을 포함할 수 있으며 , 스크린층 (120)은 스크린 필름 (122) 및 스크린 필름 (122)의 전면에 형성된 고분자 액정 분산층 (124)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무반사층 (110)과 스크린층 (120) 사이에는 무반사층 (110)의 전면으로부터 가해지는 필압에 저항하기 위한 PC 등 재질의 투명 기판 (140)이 개재될 수 있다. 따라서 , 무반사층 (110)의 전면으로 펜 등으로 인한 필압이 가해져도, 스크린층 (120)의 표면을 용이하게 보호할 수 있다. 도 2를 보면 , 무반사층 (110)의 후면에 제 1 점착층 (118)이 형성될 수 있으며 , 제 1 점착층 (118)을 매개로 무반사층 (110)의 투명 필름 (112)은 투명 기판 (140)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무반사층 (110)의 표면이 손상되거나 회복 불가능하게 오염되면 무반사층 (110)을 교체하여 플레이트 (100)가 적용된 칠판 등의 수명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제 1 점착층 (118)의 접착력은 약 10 〜 20 g/inch의 범위일 수 있으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스크린층 (120)의 제 2 점착층 (128)의 접착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점착력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 2 점착층의 점착력은 제 1 점착층의 접착력보다 높은 약 30 〜 40 g/inch의 범위에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스크린층 (120) 및 지지층 (130) 사이에 철판과 같은 자성체층 (150)이 개재되어 자석을 이용한 교구 등이 부착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자성체층 (150)은 약 1mm 두께의 철판을 이용할 수 있으며, 자석 등의 물체를 용이하게 부착시키고 얇은 재질로 사용하여 전체적인 플레이트의 무게를 줄일 수 있다. 무반사층 (110)의 비드 산란층 (114)은 글라스 비드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발수 코팅층 (116)의 표면에서 글라스 비드가 분산되어 분포될 수 있다. 발수 코팅층을 형성하는 실리콘 등의 수지에 글라스 비드를 혼합할 수 있으며, 자외선이나 열 등을 이용하여 발수 코팅층 (116)을 경화하면서 글라스 비드 (114)가 발수 코팅층 (116)의 표면에 고르게 분포될 수 있다. 이 때 글라스 비드 (114) 사이로 발수 코팅층 (116)의 표면이 노출되게 함으로써, 글라스 비드 (114) 사이로 잉크가 갇혀 있도록 할 수 있으며, 보드 마카의 지움성이 우수한 무반사층을 형성할 수 있다. 글라스 비드가 형성된 무반사층 (110)의 표면 접촉각은 약 0 〜 5 도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비드 산란층 (114)이 형성된 발수 코팅층 (116)은 약 5〜 10仰1 두께의 프라이머 코팅층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스크린층은 스크린 필름 (122) 및 고분자 액정 분산층 (124)을 포함할 수 있다. 스크린층 (120)의 고분자 액정 분산층 (124)은 약 5〜 15仰1 두께로 형성될 수 있으며 , 고분자 액정 분산층 (124)에 사용되는 고분자는 실리콘 아크릴레이트 계열을 사용할 수 있다. 스크린 필름 (122) 및 고분자 액정 분산층 (124) 사이에는 실버 분말 등을 이용한 실버층 (126)이 더 형성될 수 있으며 , 실버층 (126)에는 단순 은색 외에도 필요에 따라 필요한 색감이 추가될 수 있다. 스크린층 (120)은 실버층 (126)을 이용하여 고휘도 스크린 기능을 부여할 수 있으며 , 이 외에도 스크린 필름 (122)으로는 일반 휘도 스크린 , 직물 스크린 원단, 초단초점 CLR 원단 등 다양한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 스크린 필름 (122)을 원단 등으로 형성하는 경우 무반사층 (110)의 필압이 고분자 액정 분산층 (124)으로 직접 가해질 수 있는데 , 투명 기판 (140)으로 무반사층 (110)으로부터의 필압을 차단하여 스크린층 (120)이 직접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을 보면 , 스크린층 (120)의 고분자 액정 분산층 (124)은 분자 액정이 분산된 코팅 액을 습식 (Wet ) 코팅 방식으로 코팅하고 경화하여 형성될 수 있다. 고분자에 액정이 분산된 액을 경화 시 액정들은 방울 (Droplet ) 형태로 고분자 네트워크 층에 고르게 분산될 수 있다. 전면으로부터 빛이 들어오면 고분자 액정 방울의 고유 방향에 따라 빛이 산란 또는 굴절될 수 있으며 ,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전반적으로 확산될 수 있다. 프로젝션 빛이 도 3과 같이 확산될 경우 , 기존의 문제점인 프로젝션 핫스팟이 사라져 사용자로 하여금 눈부심이 없는 편안한 화면을 제공해 줄 수 있다. 또한, 고분자 액정 분산층 (124)에서 산란된 빛은 촘촘히 분산된 액정 방울에 의해서 역반사 되어 다시 스크린 원단으로 진입하여 빛의 손실 없이 결과적으로는 고휘도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고분자 액정 분산층 (124)의 고른 산란 효과로 빛이 특정 방향으로만 움직이지 아니하고 모든 방향으로 산란이 일어나 상당히 넓은 시야각에서 플레이트 (100) 상의 이미지를 볼 수 있다. 고분자 액정 분산층 (124)에 사용되는 고분자 액정은 Nemat i c 계열의 액정을 사용할 수 있으며 , 액정 방울의 크기가 약 0.8〜 1.2 仰 1 내외의 평균 크기를 갖는 고분자 액정을 사용할 수 있으며 , 액정 굴절률 이방성은 약 0.2 이하인 액정을 사용하여 전면으로 산란되는 빛 발생을 억제할 수도 있다. 지지층 (130)은 마감 소재로서 나무 , 허니콤 등과 같은 소재를 이용할 수 있으며 , 플레이트 (100)의 후면 마감, 자성체층 (150)의 지지 등을 기대할 수 있다. 지지층 (130)의 재질은 단단하고 휨이 없는 특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며 , 이러한 목적으로 다양한 재질 또는 구조가 사용될 수 있다. 도 4를 보면 , 칠판 등의 구성을 위해 플레이트 (100)에 몰딩 (160) 등이 더 추가될 수 있다. 몰딩 (160)은 다양한 형상 및 재질을 이용할 수 있으며 , 몰딩 (160)과 함께 칠판은 별도 지지 구조로 제공되거나 벽면에 부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 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