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n| Sign Up| Help| Contact|

Patent Searching and Data


Title:
FOOTWEAR ARTICLE FOR GUIDING WALKING WITH STRAIGHT POSTURE
Document Type and Number:
WIPO Patent Application WO/2023/248191
Kind Code:
A2
Abstract:
A footwear article comprising a sole part and an upper provides linear guides facing each other on inner side surfaces, wherein the linear guides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side surfaces of the footwear article so that the linear guides are visible from an upper portion while a wearer walks in a state of wearing the footwear article.

Inventors:
SEO WOO SEUNG (KR)
Application Number:
PCT/IB2023/056492
Publication Date:
December 28, 2023
Filing Date:
June 23, 2023
Export Citation:
Click for automatic bibliography generation   Help
Assignee:
SEO WOO SEUNG (KR)
International Classes:
A43B13/14
Attorney, Agent or Firm:
JI, Hyon Jo (KR)
Download PDF:
Claims:
【특허청구범위】

【청구항 11 밑창부 및 갑피를 포함하는 신발물품에 있어서, 내부 측면으로 서로 마주하는 직선 가이드를 제공하며 , 신발물품을 착용한 상태로 착용자가 걸으면서 상기 직선 가이드가 보이도록 상기 직선 가이드는 상기 신발물품의 상기 내부 측면으로부터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물품.

【청구항 이 제 1항에 있어서 , 상기 밑창부는 미드솔 및 아웃솔을 포함하며 , 상기 직선 가이드는 상기 아웃솔의 일부가 상기 신발물품의 상기 내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물품.

【청구항 3] 제 1항에 있어서 , 상기 밑창부는 미드솔 및 아웃솔을 포함하며 , 상기 직선 가이드는 상기 미드솔의 일부가 상기 신발물품의 상기 내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물품.

【청구항 4] 제 1항에 있어서 , 상기 직선 가이드를 제공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며 ,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밑창부의 내측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물품.

Description:
【명세서】

【발명의 명칭】 곧은 보행을 유도하기 위한 신발물품

【기술분야】 본 발명은 곧은 보행을 자가로 유도하는 신발물품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 신발은 발을 보호하기 위한 용도로 시작되었지만 , 관련된 기술이 발전하면서 다양한 목적 및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예를 들어 , 죽구화 , 러닝화, 농구화, 테니스화 와 같이 특정 운동을 보조하기 위한 신발이 있는가 하면 , 샌들 , 슬리퍼 , 장화, 방한화 등과 같이 특정 환경에 적합하게 제조된 신발도 있고 , 군화나 안전화 등과 같이 특정 직업에 특화된 신발도 있다. 이 외에도 0 다리나 X 다리를 교정하거나 곧은 보행 습관을 형성할 수 있는 교 정 목적의 신발도 있다. 일 예로, 한국공개특허 제 10- 2014- 0122152호는 바른자세걷기용 신발깔창에 관 한 것으로서 , 기본 깔창과 이에 중첩되는 복수의 벨크로를 포함하여 깔창의 높낮이나 경사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깔창을 개시하고 있다 . 다른 예로, 한국공개특허 제 10- 2018- 0052004호는 각도 센서를 이용한 걸음걸 이 교정장치로서 , 각도 센서 및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안장 걸음이나 팔자 걸음 여부를 측정하고 , 바른 걸음이 아닌 경우 경보음이나 진동을 보내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위와 같은 신발은 정확한 기준을 제시하지 못하며 , 전원 사용으로 인 하 충전 및 방전 관리의 어려움, 신발 세척의 어려움, 교정 난이도의 어려움 등 다수 의 어려움이 있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곧은 보행 교정을 유도할 수 있으며 , 직관적인 사용을 통해 어린이 도 별다른 설명 없이 스스로 교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신발물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지속적인 걸음 보정을 통해서 곧은 보행을 꾸준히 유도할 수 있는 신발물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전원 사용의 번거로움 없이 세척 등에서 잔고장의 문제가 없는 신 발물품을 제공한다.

【기술적 해결방법】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 밑창부 및 갑피를 포함하는 신발물품은 좌우 한쌍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 내부 측면으로 서로 마주하는 직선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 신발물품을 착용한 상태로 착용자가 걸으면서 직선 가이드가 평행하도록 유지하면서 걸을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직선 가이드는 상부에서 보이도록 신발물품의 내부 측면으로부터 이격되는 것이 좋다. 직선 가이드는 신발물품, 즉 갑피 또는 밑창부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된 구조로서 , 그 자체가 상부에서 기준으로 보행 방향에 나란한 직선으로 표이는 구조일 수 있다. 직선 가이드는 측면에서 굽어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착용자의 시점 , 즉 상부에서 보는 관점에서는 실질적으로 직선으로 보일 수 있다. 직선 가이드는 밑창부에 형성될 수 있다 . 구체적으로, 밑창부는 미드솔 및 아웃솔을 포함할 수 있는데 , 직선 가이드는 아웃솔의 일부가 신발물품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신발물품의 내측으로 직선의 가이드를 형성할 수 있으며 , 반대편의 신발물품 역시 동일 , 유사한 형태로 마주하는 내측으로 직선 가이드를 형성할 수 있다. 직선 가이드는 아웃솔에만 형성되지 않고 미드솔에도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직선 가이드는 미드솔의 일부가 신발물품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직선 가이드는 아웃솔이나 미드솔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지만, 별도의 착탈 가능한 가이드부와 함께 제공될 수 있다. 가이드부는 밑창부의 내측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기 위해서 돌기 등의 구조를 포함할 수 있으며 , 밑창부에는 돌기와 맞물리기 위한 홈이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은 곧은 보행을 유도하기 위한 신발물품으로서 , 착용자는 신발물품을 착용한 상태에서 직선 가이드가 평행하도록 유지함으로써 곧은 직진 보행을 습관처럼 습득할 수 있다. 걸음마를 시작한 유아도 직선 가이드를 통해서 곧은 보행을 의식적으로 몸에 익힐 수 있으며 , 성인 역시 직선 가이드를 의식적으로 평행하게 일치시킴으로써 곧은 보행에 대한 습관을 만들 수 있다. 가이드부와 같이 착탈이 가능한 구조를 이용한 경우에는 , 일반 신발과 교정용 신발의 용도를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각도 센서나 자이로 센서 등을 이용한 종래 기술에 비해 , 본 발명은 전원 사용의 번거로움 없으며 , 오히려 센서 고장으로 인한 나쁜 습관이 고착화되는 경우도 방지할 수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신발물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신발물품의 사용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물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4의 신발물품의 사용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물품의 사용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물품으로 직선 가이드가 아웃솔에 형 성된 경우와 미드솔에 형성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물품에서 착탈 가능한 가이드부를 설 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물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형태】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 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설명 에서 동일한 번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며, 상기 규칙하에서 다른 도면 에 기재된 내용은 인용하여 설명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거나 반복 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물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 는 도 1의 신발물품의 사용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에 따른 신발물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4의 신발물품의 사용례를 설 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물품은 갑피 (110) 및 발바닥 을 지지하는 밑창부를 포함할 수 있다. 갑피 (110)는 일반 신발 형상으로 제공되고 밑 창부 역시 미드솔 (120) 및 아웃솔 (130)을 포함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 외에도 신발물품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성인 운동화, 아동화 등에도 적 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아웃솔 (130)이 전방부는 직사각형처럼 형성될 수 있으며 , 내부 측면에는 직선 가이드 (132)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직선 가이드 (132)는 아웃솔 (130) 의 내측 단면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의 (b)와 같이 , 아웃솔 (130)은 측면에서 굽어진 형상이지만, 도 1의 (a)와 같이 , 상부에서 보면 아웃솔 (130)의 내측에 있는 직선 가이 드 (132)는 직선으로 보일 수 있다. 도 2와 같이 , 신발물품은 좌우 한쌍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 직선 가이드 (132)는 서로 마주할 수 있다. 착용자는 걸으면서 의식적으로 직선 가이드 (132)가 서로 평행을 이루도록 걸으면서 곧은 보행을 습관화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직선 가이드 (132)는 신발물품의 내부 측면 , 즉 갑피 (110)의 내부 측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상부에서도 직선의 라인 ( I )이 보이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왜냐하면 직선의 라인 ( I )이 보이지 않거나 추측할 수 없으면 걸으면서 직선 가이드 (132)가 평행하는지 확인할 수 없기 때문이다. 도 3 및 도 4를 보면 , 본 실시 예에 따른 신발물품에서 직선 가이드 (232)를 더욱 길게 형성하기 위해 아웃솔 (230)의 내측 경계는 더 길게 형성되고 , 직선 가이드 (232)만 직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외에 갑피 (210) , 미드솔 (220) 및 아웃솔 (230)에 관한 설명은 이전 실시 예의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아웃솔 (230)은 내측 경계만 직선으로 형성되고 , 외측 경계는 일 반 신발과 같이 , 갑피 경계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도 3의 (b)와 같이 , 아웃솔 (230) 은 측면에서 굽어진 형상이지만, 도 3의 (a)와 같이 , 상부에서 보면 아웃솔 (230)의 내 측에 있는 직선 가이드 (232)는 직선으로 보일 수 있다. 도 4와 같이 , 신발물품은 좌우 한쌍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 직선 가이드 (232)는 서로 마주할 수 있다. 착용자는 걸으면서 의식적으로 직선 가이드 (232)가 서로 평행을 이루도록 걸으면서 곧은 보행을 습관화할 수 있다. 직선 가이드 (232)와 일치하는 직선의 라인 ( I )은 상부에서도 보일 수 있으며 , 착용자는 걸으면서 직선 가이드 (232)가 평행하는지 매번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 도 5와 같이 , 걸음마를 배우는 유아나 교정이 필요한 어린이는 직선 가이드를 평행하게 유지하는 과정을 놀이처럼 익힐 수 있으며 , 자연스럽게 곧은 보행을 몸에 익힐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신발물품으로 직선 가이드가 아웃솔에 형 성된 경우와 미드솔에 형성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 도 6의 (a)를 보면 , 신발 중 우측 신발에 해당하며 , 우측 신발의 내측으로서 직선 가이드 (132)가 형성될 수 있다. 직선 가이드 (132)는 아웃솔 (130)에 형성될 수 있 다. 직선 가이드는 아웃솔에만 형성되지 않고 미드솔에도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직선 가이드는 미드솔의 일부가 신발물품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6의 (b)를 보면 , 신발물품은 갑피 (310) , 미드솔 (320) 및 아웃솔 (330)을 포 함할 수 있으며 , 직선 가이드 (322)는 미드솔 (320)과 일체를 형성하면서 신발물품의 내 부 측면으로부터 직선 가이드 (322)를 형성하도록 돌출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신발물품에서 착탈 가능한 가이드부를 설 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 직선 가이드 (442)는 신발물품에 착탈 가능한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신발물품은 갑피 (410) , 미드솔 (420) 및 아웃솔 (430) 외에도 미드솔 (420)에 착탈할 수 있는 가이드부 (4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 착용자는 가이드부 (440)를 선택적으로 장착 또는 분리함으로써 , 일반 목적의 신발과 교정 목적의 신발 간의 용도를 전환할 수 있다. 가이드부 (440) 중 미드솔 (420)과 접하는 부분은 미드솔 (420)의 형상에 대응하여 굽어진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 미드솔 (420)과 접하지 않는 내측 경계는 직선으로 형성되어 직선의 라인 ( I )에 나란한 직선 가이드 (442)를 제공할 수 있다. 가이드부 (440)에서 미드솔 (420)과 접하는 경계 (444)에는 돌기 (446)가 형성될 수 있으며 , 미드솔 (420)에는 돌기 (446)에 대응하여 홈 (426) 또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돌기나 홈의 형상은 돌기가 끼워지는 방향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신발물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보면 , 신발 중 우측 신발의 미드솔 (520) 및 아웃솔 (530)이 도시되어 있 으며 , 미드솔 (520)의 내측으로 직선 가이드 (522)가 형성될 수 있다. 직선 가이드 (132) 는 미드솔 (520)에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 역으로 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 해할 수 있을 것이다.